[대한수면연구학회] 제 1회 불면증-일주기리듬장애 심포지엄 By 최은진 / 2021-05-21 PM 05:02 / 조회 : 4807회 |
---|
[인사말]
대한수면연구학회회원님들께, 불면증과 일주기리듬수면장애는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 대표적인 수면질환입니다. 불면증은 인구의 20%가 겪을 정도로 흔한 증상이며, 일주기리듬장애로 인한 불면도 상당히 많습니다. 또한 일주기리듬은 수면 뿐만 아니라 모든 생체신호를 조절하면서 생명과 삶을 영위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현상이며, 생체시간학의 주요 항목으로 심도 있게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불면증 및 일주기리듬장애의 원인과 치료에 관해 지난 수십년간 다양한 연구와 임상시험이 지속되어 왔습니다. 대한수면연구학회에서도 학술대회와 보수교육을 통해 두 질환의 최신 지견에 대한 소개와 교육을 해왔습니다만, 시간적 제약으로 폭넓게 다루지 못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에, 본 불면증-일주기리듬장애 심포지움에서는 기존의 국내학회에서 접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주제로 구성했습니다. 불면증 세션에서는, 지난 1년 간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의 대유행에서 맞닥뜨린 불면의 실제, 이에 걸맞는 새로운 수면위생의 필요성 및 현재까지의 불면증 가이드라인에 대한 전반적 검토와 제안을 소개합니다. 아울러 언택트시대에 발맞춘 디지털 불면증치료제의 현 상황도 짚어봅니다. 일주기리듬수면장애 세션에서는 최근 이슈로 거론되는 사회적시차와 크로노타입간의 관련성, 신경계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일주기리듬의 교란, 이제껏 불면증 혹은 주간졸음의 원인 중 하나로만 간주되었던 일주기리듬을 치료 목표로 설정하는 최신 연구와 임상적 시도를 소개합니다. 본 심포지움을 통해, 불면증과 일주기리듬장애에 대한 국내 수면의학자들의 관심이 한층 더 높아지기를 기대합니다. 불면증-일주기리듬수면장애 분과위원장 김지현, 주은연 대한수면연구학회장 조용원 [프로그램]
|
총 381개
주간 졸림증 자가진단
아래의 상황들에서 당신은 어느 정도나 졸음을 느끼십니까?
졸리운 정도
* 전부 체크하시면 결과가 나타납니다.
활 동 | 졸리운 정도 | |||
---|---|---|---|---|
0 | 1 | 2 | 3 | |
앉아서 책을 읽을때 | ||||
텔레비전을 볼 때 | ||||
극장이나 회의석상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가만히 앉아있을 때 | ||||
오후 휴식시간에 편안히 누워 있을 때 | ||||
앉아서 누군가에게 말을 하고 있을 때 | ||||
점심식사 후 조용히 앉아 있을 때 | ||||
차를 운전하고 가다가 교통체증으로 몇 분간 멈추었을 때 |
불면증 자가진단
* 전부 체크하시면 결과가 나타납니다.
1. 당신의 불면증에 관한 문제들의 현재(최근2주간) 심한 정도를 표시해 주세요.
없음 | 약간 | 중간 | 심함 | 매우심함 | |
---|---|---|---|---|---|
a. 잠들기 어렵다. | |||||
b. 잠을 유지하기 어렵다. | |||||
c. 쉽게 깬다. |
2. 현재 수면 양상에 관하여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3. 당신의 수면 장애가 어느 정도나 당신의 낮 활동을 방해 한다고 생각합니까?
(예. 낮에 피곤함, 직장이나 가사에 일하는 능력, 집중력, 기억력, 기분, 등).
4. 불면증으로 인한 장애가 당신의 삶의 질의 손상정도를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인다고 생각합니까?
5. 당신은 현재 불면증에 관하여 얼마나 걱정하고 있습니까?
자기 전 다리가 저리십니까?
다리에 불편하고 불쾌한 감각이 동반되거나 이 감각없이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있다. 주로 다리에 있지만 다리 부분에 더해 팔이나 다른 부분에서도 나타난다.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이나 불쾌한 감각들이 눕거나 앉아 있는 상태 즉, 쉬거나 활동을 하지 않을 때만 생기거나 그때 심해진다.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이나 불쾌한 감각들이 걷거나 스트레칭과 같은 운동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은 부분적으로 또는 거의 모두 완화된다.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이나 불쾌한 감각들이 낮보다는 저녁이나 밤에 악화되거나 밤에만 나타난다.
위의 4가지에 모두 해당되신다면
당신은 하지불안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병원명(국문) | |
---|---|
병원명(영문) | |
담당의 | |
병원주소 | |
수면다원 검사실 | |
대표전화 | |
홈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