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잠 좀 잡시다, 제발…" By 관리자 / 2005-05-03 PM 11:13 / 조회 : 3435회 |
---|
수면장애 - 불면증과 코골이 한쪽에선 '드르렁~' 한쪽에선 '끙끙~'"제발 잠 좀 잡시다, 제발…" 불면증, 정확한 원인 파악이 치료의 관건 코골이, 성인 과체중·어린이 편도 이상 다수 35세의 직장인 박모(여)씨는 며칠만 잠이 부족하고 무리를 하면 몸살이 나곤 한다. 아무리 일이 많아도 밤샘은 '남의 나라 일'이다. 남들은 하루에 네다섯시간만 자고도 잘만 버틴다는데 박씨는 최소한 7~8시간은 자야 일상이 돌아간다. 세상은 부지런한 사람들을 칭송하고 '시테크'니 뭐니 해서 시간을 쪼개 써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씨는 잠을 줄여야 하는 걸까. 답은 '아니'다. 동아대병원 수면장애클리닉 양창국 교수는 "잠을 비롯한 생체리듬은 저마다 타고난다"고 말한다. 잠이 많은 사람은 많은 대로,적은 사람은 적은 대로,자신의 리듬을 잘 읽고 그에 따라 생활 습관을 조절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설명이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10명 중 4~6명은 잠자기에 문제가 있는 수면장애를 갖고 있다. 잠을 잘,그리고 충분히 자는 것은 깨어 있는 시간 동안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만큼 잠자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수면의 역할 의학이 발달하면서 잠을 자는 동안 신체 내에서는 여러 가지 생리적인 변화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으며 수면이 우리의 정신적,신체적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우선 잠은 낮 동안에 소모되고 손상된 부분을 회복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또 깨어있는 시간 동안 학습된 정보를 재정리해 불필요한 것은 버리고 필요한 것은 재학습해 기억시킨다. 잠은 감정조절 기능도 갖고 있다. 불쾌하고 불안한 감정들이 꿈과 정보처리를 통해 정화돼 다음날 아침,상쾌한 기분을 가질 수 있게 해 준다. 특히 성장기에는 수면 중 성장호르몬이 활발히 분비된다. 이 같은 잠을 방해하는 수면장애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잠드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릴 때,밤중에 너무 자주 깨어나며 다시 잠들기 힘들 때,수면 중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일 때,그리고 아침에 깨어났을 때 피로하고 상쾌함을 느끼지 못할 때,또는 낮 동안에 졸아서는 안될 상황에서 졸릴 때 수면장애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수면장애는 불면증과 코골이,수면무호흡증 등이다. #불면증 최소한 한달 이상 잠들기가 어렵거나 수면을 유지하기 힘들어 현저한 사회적,직업적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한다. 부산대병원 정신과 정영인 교수는 "특별한 신체적,혹은 정신과적 원인이 없이 발생하는 원발성 불면증과 정신과적 질환과 관련된 이차성 불면증,수면무호흡증 등 신체 질환에 따른 불면증,술이나 카페인 등 약물에 의한 불면증 등이 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불면증 등 수면장애의 경우 수면에 대한 병력조사,신체검사,수면일지,활동기록기,수면 다원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밝혀 낸 후 이에 맞춰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특히 수면제는 약에 따라 수면유도,수면유지,기상 후 각성상태,내성 및 의존성의 기능이 각기 다르므로 불면증의 상태를 잘 파악해 사용해야 한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30~35세의 남자 중 20%,여자의 5%가 코를 골며 60대 남자의 60%,여자의 40%가 습관적으로 코를 곤다. 코골이는 잠을 자는 동안 코와 목이 만나는 부위와 목구멍 안의 근육이 이완되면서 점막이 늘어져 공기가 인후부위를 쉽게 통과할 수 없을 때 문풍지처럼 떨리면서 발생하게 된다. 코골이의 가장 큰 원인은 비만이다. 술을 마시거나 피곤해도 근육의 이완이 심해져 코를 골 수 있다. 목젖이 길거나 목구멍의 점막이 평소에 많이 늘어져 있는 사람들도 코를 곤다. 코골이가 심해지면 수면 중 숨을 쉬지 않는 수면무호흡증을 부른다. 수면무호흡증이 생기면 산소 부족으로 인해 무기력증,정신집중 장애가 오게 되고 심장에 무리를 줘 부정맥을 일으킨다. 또 남성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쳐 성욕감퇴,발기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비만으로 인한 코골이를 치료하는 데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체중 감량이다. 또 잠들기 3시간 전에는 코골이를 악화시킬 수 있는 음주나 진정제,수면제,감기약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평소 코고는 증상이 있다면 잠잘 때 똑바로 누워 자지 말고 옆으로 누워서 자도록 한다. 메디칼이비인후과 박기호 원장은 "이 같은 조절로 증상이 나아지지 않을 경우 잠을 잘 때 양압기를 코에 착용하거나 마우스피스 같은 구강 내 보조장치를 사용하는 기계적 치료,혹은 레이저를 이용한 구개인두 성형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어린이의 코골이 어린이가 입을 벌리고 코를 고는 가장 큰 원인은 콧속 뒤쪽에 있는 편도의 일종인 아데노이드가 두꺼워지는 아데노이드 비후증 때문이다. 다음으로 만성 비염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증상이 있으면 구강구조나 이의 성장에 영향을 미쳐 부정교합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통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받아야 한다. 배재정기자 doublej@busanilbo.com / 입력시간: 2005. 05.03. 09:35 |
총 129개
번호 | 제목 | 파일 | 작성자 | 조회수 | 작성일 |
---|---|---|---|---|---|
49 | 폐색성 수면 무호흡, 간손상 일으켜 | 관리자 | 조회:3090 | 2005-06-02 | |
48 | [사이언스 21](66)수면조절 유전자 | 관리자 | 조회:3225 | 2005-05-30 | |
47 | [과학속의 식품이야기] 수면유도 | 관리자 | 조회:3970 | 2005-05-11 | |
46 | 노인, 암환자를 위한 수면건강 공개강좌 | 관리자 | 조회:2899 | 2005-05-06 | |
45 | "제발 잠 좀 잡시다, 제발…" | 관리자 | 조회:3436 | 2005-05-03 | |
44 | 하지불안증후군(RLS) 유전 가능성 존재 | 관리자 | 조회:3048 | 2005-04-12 | |
43 | '앰비엔' '루네스타' 수면제시장에 기상나팔 | 관리자 | 조회:3977 | 2005-04-12 | |
42 | 불면증, 예방과 치료 | 관리자 | 조회:3723 | 2005-03-24 | |
41 | 불면증 경험자 생활습관병 걸리기 쉬워 | 관리자 | 조회:3071 | 2005-03-17 | |
40 | [Doctor & Disease]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홍승봉 박사 | 관리자 | 조회:4217 | 2005-03-14 |
주간 졸림증 자가진단
아래의 상황들에서 당신은 어느 정도나 졸음을 느끼십니까?
졸리운 정도
* 전부 체크하시면 결과가 나타납니다.
활 동 | 졸리운 정도 | |||
---|---|---|---|---|
0 | 1 | 2 | 3 | |
앉아서 책을 읽을때 | ||||
텔레비전을 볼 때 | ||||
극장이나 회의석상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가만히 앉아있을 때 | ||||
오후 휴식시간에 편안히 누워 있을 때 | ||||
앉아서 누군가에게 말을 하고 있을 때 | ||||
점심식사 후 조용히 앉아 있을 때 | ||||
차를 운전하고 가다가 교통체증으로 몇 분간 멈추었을 때 |
불면증 자가진단
* 전부 체크하시면 결과가 나타납니다.
1. 당신의 불면증에 관한 문제들의 현재(최근2주간) 심한 정도를 표시해 주세요.
없음 | 약간 | 중간 | 심함 | 매우심함 | |
---|---|---|---|---|---|
a. 잠들기 어렵다. | |||||
b. 잠을 유지하기 어렵다. | |||||
c. 쉽게 깬다. |
2. 현재 수면 양상에 관하여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
3. 당신의 수면 장애가 어느 정도나 당신의 낮 활동을 방해 한다고 생각합니까?
(예. 낮에 피곤함, 직장이나 가사에 일하는 능력, 집중력, 기억력, 기분, 등).
4. 불면증으로 인한 장애가 당신의 삶의 질의 손상정도를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인다고 생각합니까?
5. 당신은 현재 불면증에 관하여 얼마나 걱정하고 있습니까?
자기 전 다리가 저리십니까?
다리에 불편하고 불쾌한 감각이 동반되거나 이 감각없이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있다. 주로 다리에 있지만 다리 부분에 더해 팔이나 다른 부분에서도 나타난다.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이나 불쾌한 감각들이 눕거나 앉아 있는 상태 즉, 쉬거나 활동을 하지 않을 때만 생기거나 그때 심해진다.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이나 불쾌한 감각들이 걷거나 스트레칭과 같은 운동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동안은 부분적으로 또는 거의 모두 완화된다.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이나 불쾌한 감각들이 낮보다는 저녁이나 밤에 악화되거나 밤에만 나타난다.
위의 4가지에 모두 해당되신다면
당신은 하지불안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병원명(국문) | |
---|---|
병원명(영문) | |
담당의 | |
병원주소 | |
수면다원 검사실 | |
대표전화 | |
홈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