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도 대한수면학회 “임상의를 위한 수면무호흡증 연수강좌”
By 관리자
/
2011-10-13 AM 5:00
/ 조회 : 4,918회
2011년도 대한수면학회 “임상의를 위한 수면무호흡증 연수강좌”
일시: 2011년 10월 30일 (일)
장소: 서울아산병원 강당
[초대의 글]
금년도 대한수면학회 연수강좌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주제로 진행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은 남녀 불문하고 어떤 연령에서도 발생하는 흔한 질환으로 많은 환자들이 수면무호흡증과 연관된 증상 및 합병증으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의 질을 나쁘게 하여 낮에 졸리고 피곤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기억력, 집중력 등 인지기능을 떨어뜨리고, 뇌졸중, 심혈관 질환, 당뇨병, 수면 중 급사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하지만 환자 본인이 수면무호흡증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많은 의사들이 진단하지 못하고 있어서 아직도 대부분의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많은 의사들이 수면무호흡증을 잘 이해하고 환자들을 찾아서 치료할 수 있도록 이번 연수강좌를 개최합니다. 본 연수강좌를 통해 수면무호흡증의 임상양상과 진단에 관해 살펴보고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나타나는 합병증에 대한 강의를 통해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경각심을 새롭게 가지고자 합니다. 그리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치료법을 알아보고 우리가 임상현장에서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볼 때 부딪치는 문제에 대해 패널토의를 통해 같이 고민하고 토론하고자 합니다. 바쁘시더라도 부디 참석하셔서 수면무호흡증과 관련하여 임상적, 실제적 경험을 같이 나누고 수면무호흡증의 이해와 환자치료에 한 걸음을 더 내 딛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대한수면학회장 홍승봉
각 강의당 20분 강의 + 5분 질문 (연제 I, II, III)
I.수면무호흡증의 임상양상과 진단 (9:00 __ 10:40)
좌장: 홍승봉(성균관의대), 홍승철 (가톨릭의대)
1. 수면무호흡증의 임상양상
홍승봉 (성균관의대 신경과)
2. 수면무호흡증의 진단과 역학
홍승철 (가톨릭의대 정신과)
3. 수면무호흡증의 진단방법
김정훈 (서울의대 이비인후과)
4. 소아수면무호흡증의 이해
이승훈 (고려의대 이비인후과)
휴 식 (10:40 __ 11:00)
II.수면무호흡증의 발생기전 및 합병증 (11:00 __ 12:40)
좌장: 최수전(인제의대), 윤인영 (서울의대)
1. 수면무호흡의 발생기전
신 철(고려의대 내과)
2. 심혈관계 합병증
최수전(인제의대 내과)
3. 뇌의 기능 및 구조적 변화
주은연(성균관의대 신경과)
4. 인지기능의 저하
윤인영(서울의대 정신과)
점심 (12:40 - 1:20)
III.수면무호흡증의 치료 (1:20 __ 3:00)
좌장: 이상암(울산의대), 김성완 (경희의대)
1. 보존적 치료
정석훈(울산의대 정신과)
2. 상기도양압기 치료
윤창호(서울의대 신경과)
3. 수술적 치료
김성완(경희의대 이비인후과)
4. 구강내 장치
정진우(서울치대 구강내과)
휴식 (3:00 - 3:20)
각 강의당 15분 + 총 40분 토론
IV.수면무호흡증 진료시 제기되는 문제점에 대한 패널토의 (3:20 __ 5:00)
좌장: 홍승봉(성균관의대), 이재서(서울의대)
1. 경증 혹은 무증상 환자의 치료
신원철(경희의대 신경과)
2. 양압기 비순응과 순등도 향상을 위한 대책
이상암(울산의대 신경과)
3. 수술치료의 적응증 설정
정유삼(울산의대 이비인후과)
4. 휴대용 검사기기의 사용 및 제한점
이재서(서울의대 이비인후과)
1.사전등록 안내
-
사전등록 기간 : 2011년 10월 15일 (토)
-
사전등록비를 아래 통장으로 입금해 주시고, 입금하신 후 수련병원 또는 개인별로 첨부 양식의 사전등록 신청서를 기재 하여 Fax (02-440-7243) 또는 E-mail(shin1chul@naver.com)로 보내주시기 바람니다.